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MJDADDY 입니다.

 오늘의 포스팅할 주제는 미열입니다. 해열제를 먹여야 할지 병원으로 가야할지 젖은 수건으로 마사지를 해야할지 고민되는 것이 미열입니다.

 

 

육아를 하시는 부모라면 아기의 열 때문에 걱정도 많이 하게 되고 고생을 하게 됩니다. 컨디션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기가 보채고 울고 탈수가 올까봐 잠도 제대로 못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기는 성인의 체온과는 달리 조금 높은게 정상입니다. 점차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서 체온 조절 능력이 생기면서 정상 체온 범위안에 들어가게 됩니다. 고막 체온을 기준으로 37.4도 이하가 정상으로 봅니다. 37.5도부터 38도까지는 미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38도 이상은 고열로 보며 컨디션 좋지 않다면 병원을 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연령별 정상체온 범위입니다.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0-2세 

36.4~38.0℃ 

3-10세 

36.1~37.8℃ 

11-65세 

35.9~37.6℃ 

65세 이상 

36.8~37.5 

<출처 : 아기 열관리 어플 '열나요'>

신생아 기준 측정 부위별 정상체온 범위 입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고막 

35.7~37.5℃  

겨드랑이 

34.7~37.3℃  

직장 

36.6~37.9℃  

구강 

35.5~37.5℃  

<출처 : 아기 열관리 어플 '열나요'>

 

 열을 잴 때, 주의할 점이라면 같은 체온계로 같은 부위를 재야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상기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부위별로 정상체온 범위가 다르고 시중에 파는 체온계에는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미열은 가벼운 감기 또는 바이러스의 초기 증상 때 나타날 수 있으며 예방접종을 한 뒤에 면역활동이 시작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방접종 후의 미열이 아니라면 감기 및 바이러스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진료를 받으러 가는 것이 좋습니다.

 밤에 미열 외에 다른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급하게 응급실까지 갈 필요는 없고 다음날 소아과로 가시면 됩니다. 그러나 백일 이하의 아기라면 38도 이상 열이 나면 빨리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미열이 날 경우 부모들은 걱정이 되어서 5분마다 체온을 재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아이들도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1~2시간 간격이면 충분합니다. 단 100일 이하의 신생아나 열성경련이 있었던 아이들은 30분마다 재면 됩니다.

 미열이 날 경우 미온수 마사지를 하는 부모들도 있는데 굳이 열을 강제로 내릴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정상적인 것을 나타내므로 고열이 아닌 경우라면 시도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실내 온도는 20~25도 정도로 서늘하게 맞추고 습도는 40~60%가 적당하며 실내 환기를 자주 시켜줍니다. 얇은 옷을 입히는 것만 해도 충분합니다.

 미열에서는 해열제는 먹이지 않습니다. 해열제는 보통 38.5이상이거나 38도 이상인데 컨디션이 안 좋으면 먹이면 됩니다. 컨디션이 좋으면 39도까지 안 주는 경우도 있지만 갑자기 열이 치솟고 탈수가 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단 열성경련이 있었던 아이의 경우 미열인 경우에도 먹여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해 열제는 기본적으로 4~5시간마다 투여하며 2시간 째 열을 재서 38.5이상이라면 교차복용을 하면 되는데 너무 많이 먹일 수도 있으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미열이 생기면 수분 요구량이 늘어나고 탈수가 급격히 진행되어 열이 오르는 탈수열이 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섭취가 필요합니다. 이 때 실온의 이온 음료 또는 따뜻한 물이 좋습니다.

 아기의 미열은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따라서 고열이 될지 정상체온이 될지가 결정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대처를 통해서 사랑하는 아기가 아파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